윤활제의 분류

윤활유는 윤활제의 90%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윤활유의 대부분은 광유계이다.
액상인 윤활유가 윤활제로서 사용되기 위하여
갖추어야 할 일반성질은 아래와 같다.

① 사용 상태에 따라 충분한 점도를 가질 것
② 한계윤활상(限界潤滑狀熊)에서 견디어낼 수 있는 유성(油性)이 있어야 할 것
③ 산화나 열에 대해서 안정성이 있을 것

1) 원료에 의한 분류
① 석유계 윤활유 - 파라핀(Paraffin)계 윤활유 / 나프텐(Naphthene)계 윤활유 / 혼홥계 윤활유
② 비석유계 윤활 - 동식물계 윤활유 / 합성계 윤활유
2) 점도에 의한 분류
- SAE 자동차용 엔진유 및 기어유 / ISO 공업용 윤활유 / AGMA 공업용 기어유
3) API 서비스 분류
- 가솔린기관용 엔진유 / 디젤기관용 엔진유 / 기어유
4) 용도에 의한 분류
- 내연기관용 윤활유 / 터빈유 / 기어유 / 냉동기유 / 기계유 / 베어링 윤활유 / 금속가공유 / 유압작동유 / 압축기유
그리이스는 액상윤활제(광유 및 합성유)에 증조제를 분산시킨 상온에서 반고체 또는 고체상의 윤활제로서 특성 및 종류등
고체윤활제로서는 흑연(Graphite), 이유화몰리브덴(MoS2), 운모(Mica), 활석(Tale)등이 있으며, 고체윤활제 자체는 윤활성이 거의 없으나 금속면의 요철부분을 메꾸어 평활한 면을 만드는데 사용된다.
이러한 고체윤활제는 내열성 및 내산성이 강하며, 내하중성이 우수하여 극압윤활제로 주조윤활유 및 그리이스에 분산 사용된다.